북을 치면서 추는 북춤은 조선인민들이 창조발전시킨 민족성이 짙은 우수한 무용유산의 하나이다.
고대로부터 조선인민들의 정서생활에서는 큰북, 손북, 매단북, 흔들북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북이 널리 리용되였다.
삼국시기에는 손북춤, 요고춤과 같은 여러가지 형식의 북춤이 추어졌는데 그 춤형상에 대하여서는 고구려무덤벽화에서 찾아볼수 있다. 중세기 오랜 기간 북춤은 조선인민들의 생활속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널리 추어져왔으며 각 지방들에서 지방적특색이 짙은 북춤들도 창조되였다. 북춤은 춤을 출 때 리용되는 북의 크기와 형태, 그 설치와 지님관계에 따라 눕힌북춤, 세운북춤, 매단북춤, 든북춤, 멘북춤 등으로 구분된다.
눕힌북춤은 일정한 틀에 큰 북을 눕혀놓고 춤군들이 량손에 든 북채로 그것을 치거나 그 주위를 돌아가면서 흥겹게 추는 춤인데 중세기 민간이나 궁중에서 널리 추어졌다. 평안도의 대관지방에서 추어진 《큰북춤》, 자강도지방의 《룡북춤》, 경상도지방의 《통영승전무》가 그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매단북춤은 여러개, 혹은 하나의 북을 일정한 걸이대에 매달고 량손에 든 북채로 치면서 추는 춤이다. 이 춤은 다양한 북치기기법으로 변화무쌍한 북가락들을 연주하면서 추는 기교높은 북춤으로서 주로 전문춤군들이 추었다.
멘북춤은 적당한 크기의 북을 어깨에 메고 추는 춤으로서 조선인민들이 가장 널리 추었던 북춤이다. 어깨에 북을 메고 추는 북춤은 조선봉건왕조시기 농악무가 발전하면서 더욱 성행하였다. 농악무에서 북은 연주수단이면서도 춤소도구였다. 농악무에서 추어지던 북춤은 점차 그 형상수단과 수법이 발전하여 독자적인 춤종목으로 발전하였는데 함경도의 《두레놀이》, 경상도의 《오북춤》이 그 대표적인 실례로 된다.
든북춤은 말그대로 손에 북을 들고 그것을 치면서 추는 춤이다. 손에 북을 들고 추기때문에 북의 형태가 손에 쥐고 놀리기 쉽게 제작되였으며 다른 북춤에 비하여 조형적인 가짐이나 놀림이 다양하다. 각지 농악무에서 추어진 《소고춤》, 평안도 평원지방에서 추어진 《채북춤》, 《평고춤》 등이 그 실례로 된다.
조선인민들속에서 추어진 여러가지 형식의 북춤들은 북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춤구성과 춤가락, 춤구도가 다양하지만 률동적으로 볼 때 일련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있다. 그것은 모든 북춤들이 북을 치는 동작을 기본으로 하여 춤형상이 이루어진다는것이다. 북은 그 형태는 단순하지만 북치기수법들은 매우 다양하다.
조선인민들은 북춤을 민속명절날 풍작을 바라거나 축하하면서 또는 외적을 쳐부신 승전마당에서 추었다.
북장단가락과 률동적특징에서 민족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북춤들은 조선민족의 우수한 무용유산일뿐아니라 대외공연무대들에서 조선민족의 예술적재능을 남김없이 과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