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성전은 평안북도 향산군 묘향산에 있는 조선봉건왕조시기의 절로서 1875년에 지은것이다.
묘향산 상원암 오른쪽에 룡의 뿔처럼 생겼다하여 룡각석이라고 불리우는 우뚝 솟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돌아서면 인차 축성전에 이른다.
이곳 지형조건에 맞게 동남쪽을 향하고있는 축성전은 정면 5간(16.13m), 측면 2간(5.17m)의 기본채에 그 량옆에 앞쪽으로 한간너비씩 나온 나래채가 달린 합각집이다. 정면은 겹처마의 2익공바깥도리식이며 후면은 홑처마 단익공주도리식으로 되였다.
이 절간은 살림집형식을 닮고있는것이 특징이다.
본채 다섯칸가운데서 북쪽 끝칸은 부엌이고 나머지 4칸은 모두 온돌방이다. 그리고 동쪽나래채는 온돌방이고 서쪽나래채는 마루방으로 되였다. 방앞에는 퇴마루를 놓았다. 기본채의 앞쪽에는 긴 퇴마루에 기둥을 세우지 않고 액방을 건네놓아 앞을 시원하게 틔워놓았으며 기둥위치에는 포를, 그사이에는 화반을 배치하였다.
량쪽 나래채의 정면은 지붕의 박공이 보이게 하였다. 건물에는 모루단청을 하였다.
축성전에서 이채를 띠는것은 벽체장식그림이다. 건물바깥벽과 천정들에는 산수화, 무악도, 불화, 생활세태도, 성좌도 등 여러가지 주제의 그림들이 그려져있다.
이 건물은 조선봉건왕조후기의 건축술과 단청기술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력사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