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만년의 오랜 세월 조선사람들은 자기의 고유한 민족음악을 창조하여오는 과정에 조선사람의 비위와 감정에 맞는 독특한 민족타악기들을 수많이 창제함으로써 민족의 뛰여난 예술적재능을 남김없이 떨치였다.
선조들이 만든 민족타악기들에는 유명한 장고도 들어있다.
장고는 조선음악의 민족적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게 하는 대표적인 민족타악기의 하나이다.
오랜 력사적기간 조선인민의 사랑을 받아오면서 널리 보급되여온 장고는 고구려의 악기인 요고에 그 시원을 두고있다.
장고를 일명 장구라고도 하는데 력사기록들에는 허리에 차는 북이라고 하여 《요고》라고 씌여져있다.
고구려시기의 무덤들인 집안 다섯무덤의 4호, 5호무덤벽화들에는 오늘의 장고와 비슷한 악기인 요고가 그려져있으며 《통전》을 비롯한 력사책들에도 고구려시기에 요고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오고있다. 그것은 요고가 장고의 전신악기이며 따라서 고구려때부터 선조들이 만들어썼다는것을 잘 알수 있다.
이시기 사용된 요고는 조임장치가 없고 궁편과 채편을 가죽으로 고정시켜 만들었으며 련결목부분이 좁아 나팔관을 두개 련결시킨 모양으로 되여있었다.
고구려사람들이 만들어쓴 요고는 발해사람들에 의해 그대로 계승되여 널리 리용되였으며 그후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를 걸쳐 오늘날 리용하는 장고와 비슷한 악기로 개량되게 되였다. 그리고 이름도 장고라고 불리워지게 되였다.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에 장고는 노래반주악기로 많이 쓰이였을뿐아니라 직업적인 민간예술인들속에서도 북과 함께 없어서는 안될 타악기로 되여왔다. 특히 민간음악이 급속히 발전한 조선봉건왕조시기에 들어서면서 장고는 삼현륙각, 농악단 등 민간기악단들에서 기본타악기의 하나로 리용되였으며 그 과정에 장고의 연주법이 더한층 발전되고 세련되게 되였다.
장고에는 장고보다 좀 작은 형태의 설장고가 있다. 설장고의 연주형식에서는 장고의 끈을 어깨에 메고 오른손에는 방망이(궁굴채)를 쥐고 왼손에는 장고채를 잡은 다음 률동적인 춤가락도 써가며 왼손과 오른손의 위치를 번갈아 편을 치기도 하는데 이러한 연주형식은 조선의 장고음악에서만 찾아볼수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장고는 인민들속에 널리 보급되여오는 오랜 력사적과정에 그 활용성이 매우 풍부해지고 주법이 다양하게 발전됨으로써 소편성의 관현악에서는 지휘자적역할을 하게 되였으며 간혹 독주악기로도 쓰이게 되였다.
오늘 장고는 민족적흥취를 돋구어주는 다양한 성격의 장단을 훌륭하게 살려냄으로써 음악형상을 높이는데 적극 이바지하고있으며 무용소도구를 비롯한 인민들의 문화생활에도 널리 리용되고있다.